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독일 라이프치히 여행
- 독일 레겐스부르크 여행
- Eibsee
- 미래에셋
- 교환학생
- 뮌헨공대 교환학생
- 체코 프라하 여행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 슈투트가르트 여행
- 덴마크 코펜하겐 여행
- 독일 여행
- 영국 런던 여행
- 아우크스부르크 여행
- 독일 교환학생
- 독일 함부르크 여행
- 아입제
- playmobil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여행
- 뮌헨 여행
- 독일 베르히테스가덴 여행
- 독일 뉘른베르크 여행
- 미래에셋장학생
- 글로벌특파원
- 다뉴브
- 플레이모빌
- 리니지M
- 미래에셋박현주재단
- 뮌헨공대
- 아일랜드 더블린 여행
-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 Today
- Total
원남, 기록
3부 바하우에서 3. A.E.I.O.U. 본문
p.182
린츠 성에 있는 프리드리히스토어 문에는 그 유명한 수수께끼 약자가 씌어 있다.
프리드리히의 문Friedrichstor은 린츠 성에 위치해있는 문으로, 프리드리히 3세가 본인의 다른 물건에 그랬듯 선언문 'A.E.I.O.U.'가 쓰여있다. 해당 의미는 북부지방의 오스트리아를 소개하는 하기 웹페이지에 따르면, "전세계가 오스트리아를 복종하게 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다뉴브 책에 있는 두 가지 의미 중 첫번째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프리드리히 3세의 문 관련 참고 웹페이지]
https://www.donauregion.at/en/oesterreich-poi/detail/430023043/frederick-s-gate.html
Frederick's Gate
The information you provide (email address, enquiry; optional: form of address, title, prename, surname, telephone number) is exclusively used by WGD Donau Oberösterreich Tourismus GmbH to process your request and is only disclosed if the request is to be
www.donauregion.at
p. 184
중고서점 진열대에 진열된 명예 도지사 G. 데모르니의 저서 『다뉴브 강과 아드리아 해』(1934)는 다뉴브 강에서 자유로이 항해할 수 있는 권리와 중앙유럽 국가들과 발칸제국의 정책에 관련된 외교 문제들을 정리해서 보여준다.
G. 데모르니Gustave Demorgny는 프랑스 사람으로 하기 책을 출판하였다. 그렇게 유명하진 않은지 검색해도 따로 나오지는 않는다. 문학 작가보다는 학술적인 저술가로서의 역할이 더 커보인다.
『다뉴브 강과 아드리아 해Danube et Adriatique』는 말 그대로 G. 데모르니가 강과 바다 근처에 있는 도시나 지역에 대해 정치적, 경제적, 정치적인 구조를 분석해놓은 책이다. 아드리아 해는 이탈리아 동쪽에 있는 바다를 일컫는다. 지도로 봐보자.
p.184-185
(중략) 구글리엘모 메니스가 그의 책『글과 그림으로 보는 아드리아 해』(자라, 1848) 250쪽에서 언급했던 근거 없는 옛 가설, 즉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저명한 작가들이 주장하길 퀴에투스 강은 다뉴브 강의 지류인 이스트로스 강이고, 콜키스에서 돌아온 아르고스 배는 그 강을 거쳐 아드리아 해로 들어갔다"라는 가설이 갑자기 증명된다 해도 지금 이 순간 불쾌하지 않을 것이다.
구글리엘모 메니스 Guglielmo Menis는 아드리아 해안지역에서 학자이자 교사로 지냈으며, 아드리아 해 연안을 고고학, 지리, 문헌적으로 분석해서 서술했다.
플리니우스 마이오르Plinius는 『박물지(Naturalis Historia)』라는 저서를 통해 이스트라 반도 지역의 강과 지명 등 지리적, 동식물, 인문학적으로 기록했다.
퀴에토스 강Quieto은 현재 미르나 강Mirna을 일컫는 옛 지명으로, 옛날 지리적인 문헌을 보면 다뉴브와 연결된다라고 정의되기도 하였다. 아래 지역을 보면 다뉴브 강과 상당히 먼 곳에 위치한 강임을 알 수 있다.
이스트로스 강Ister은 고대 그리스식 이름의 다뉴브 강을 일컫는다. (Ιστρος(Istros)로 썼다고 한다.)
콜키스(Colchis)는 다뉴브 강을 끝까지 타고가면 있는 흑해 중 동쪽 구역을 일컫는다. 아래는 콜키스를 쳤을때 나오는 콜키스 분수 지명이나, 다뉴브 책 본문을 보면, 콜키스 지역에서 다뉴브 강을 타고 퀴에투스 강까지 갈 수 있다는 가정이 있다고 언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공부 > <다뉴브>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부 바하우에서 2. 줄라이카 (0) | 2025.08.21 |
---|---|
3부 바하우에서 1. 린츠에서의 부고 (8) | 2025.08.17 |
2부 공학자 네베클로프스키의 보편적인 다뉴브 강 29. '아름답고 푸른 인 강' 아닐까? (5) | 2025.08.14 |
2부 공학자 네베클로프스키의 보편적인 다뉴브 강 28. 크림힐트와 구드룬 혹은 두 가문 (7) | 2025.08.12 |
2부 공학자 네베클로프스키의 보편적인 다뉴브 강 27. 도시 파사우에서 (0) | 2022.02.20 |